본문 바로가기
life log

[음식상식] 배, 미세먼지 많을 때 효과적

by 꿈꾸는돼지 2023. 1. 10.

1. 배의 유래와 종류

 

일석이조(一石二鳥)와 비슷한 말로 「빼먹고 이 닦기」라는 말이 있습니다.

또 자기 태생의 자식은 언제나 남의 자식보다 아끼게 된다는 뜻으로 「배 썩은 것은 딸에게 주고 밤 썩은 것은 며느리 준다』라고도 합니다. 배는 이처럼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많이 이용되는 대표적인 과실의 하나로 꼽힙니다.

배


배는 능금나무와 배나무 속에 속하는 과수인데 야생종과 개량 품종으로는 일 본종·중국 중·서양종의 세 가지가 있습니다.

독특한 단맛에 시원한 맛이 있어 사랑받는 과일인데 알칼리성 식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서양배는 모양이 약간 표주박 비슷하게 생겼는데, 다른 품종보다 수분과 비타민 함량이 적으나 당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서양배는 수확 후 1주일가량 후숙을 시켜야만 그 향미가 더욱 좋아지며 껍질도 부드러워져 껍질째 먹을 수도 있습니다. 서양배는 생으로 먹기라는 통조림 등 가공용에 알맞다.

 

2. 배의 구성

배의 당분은 과당이 대부분이고 포도당은 적습니다.

사과와는 달리 사과산. 주석산. 구연산 동의 유기산이 적어 0.1%에 지나지 않아 신맛이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사과처럼 잼이 잘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배 속에는 효소가 많은 편이에서 소화를 돕는 작용도 한다. 불고기를 먹을 때나 육회 등에 배를 놓으면 고기가 효소의 작용으로 연해질 뿐만 아니라 소화성도 좋아집니다.

배를 먹을 때 까슬까슬하게 느껴지는 것은 오볼도 통한 석제 포가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석세포는 리그닌. 펜토산이라는 성분으로 된 세포막이 두꺼워진 후막(토 )세포라고 합니다.

 

3. 배의 효능

앞서 말했다시피 배는 효소가 많아 소화를 돕고 연육 작용을 합니다. 더불어 변비와 조갈증에 좋은 식품입니다.
그리고 배는 옛날부터 변비에 좋고 이뇨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왔는데 변비에 좋은 것은 소화가 안 되는 석세포 때문이라고 불 수 있습니다. 이 석세포가 있기 때문에 배를 먹고 남은 속으로 이를 닦으면 이가 달여진다고도 합니다.
그러나 옛날부터 배는 이에 독이 된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배를 먹게 되면 석세포가 이 사이사이에 끼어 충치의 원인이 된 것이 이를 썩게 하는 게 아닌가 생각되기도 합니다.

 

4. 한방의학에서의 배


한방에서는 배를 여러 가지로 씁니다.
땀이 나오는 기침에는 배즙을 내서 생강즙과 꿀을 타 먹으면 효과가 있다고도 합니다. 그래서 기존에 생강과 배를 꿀과 섞어 만든 차도 종종 보입니다.

과일 배


심한 기침을 할 때는 배 한 개를 썰어 양젖이나 우유를 섞어 달여 먹으면 좋나 알지는 느낌도 있습니다.

복통이 심할 때는 배잎을 진하게 달여 자주 먹으면 좋다고 합니다.
담이 많고 숨이 차면 배즙과 무즙을 각각 반 함 가령 만들고 거기에 생강즙을 4~ 5숟갈 타서 한꺼번에 먹으면 좋다고 합니다.

그리고 배는 갈증이 심하거나 술 먹고 난 다음의 조갈증에는 매우 좋은 과일입니다. 전날 거하게 마시고 나서 다음날 배 음료를 한잔 들이킬 때 해장이 되는 느낌은 진짜 해방되는 것입니다.

 

5. 배의 단점

배가 변비 . 이뇨ㆍ 기침 등에 좋다고 너무 많이 먹으면 속이 냉해진다고 합니다.
소화력이 약한 사람은 배를 먹으면 설사를 일으키기 쉽다고 합니다. 그리고 만약 환자에게 줄 때는 갈아서 주스로 주는 것이 좋습니다.
부스럼이 난 사람이나 산모에게도 좋지 않다고 하니 꼭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성비가 다소 떨어집니다. 크기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다른 과일에 비해 비쌉니다. 물론 우리나라 기준입니다. 그래서 배는 거의 고급 과일로 분류되고 제사에 많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6. 배 관련 잡다 상식

 

술의 종류로 생강과 배를 원료로 한 이강주가 있고, 소주에 배즙• 생 강습· 을 등을 넣고 중탕해서 만든 독특한 술인 이강고가 있습니다.
그리고 과일 선택 시 배는 모양이 잘생긴 것보다는 못난 것이 맛이 좋다고 합니다. 먼저 좋은 배를 고르려면 모양새를 잘 살펴봐야 합니다. 우선 전체적으로 맑고 투명해야 하며 꼭지 반대편 배꼽 부분이 넓고 깊을수록 당도가 높습니다. 또 껍질 표면이 울퉁불퉁하지 않고 매끄러운지 확인해봐야 합니다. 만약 상처가 있거나 갈색 반점이 있다면 고르지 않는 게 좋습니다. 
다음으로 신선도와 관련된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보통 냉장고에 넣어두면 오랫동안 먹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잘못된 상식입니다. 냉장 보관 시 수분이 증발하여 과육이 푸석해지고 본연의 맛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구입 후 즉시 먹는 게 아니라면 신문지나 비닐봉지에 싸서 서늘한 곳에 보관하는 게 좋습니다.
참고로 사과와 함께 두면 쉽게 상하므로 따로 보관하도록 하는 게 팁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