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달맞이꽃의 유래와 종자유의 사용
달맞이꽃의 꽃말은 「기다리는 사랑」입니다. 해가 지고 난 뒤 달빛 아래서 피기 때문에 달맞이꽃이라고 합니다.
흰 꽃이 피는 것은 멕시코가 원산지인데, 노랑꽃이 피는 금달맞이꽃은 남미의 칠레가 원산지로 관상용으로도 재배된다고 합니다. 중국에선 야래향(夜來 香), 미국에선 evening primrose, 일본에선 월견초(月見草)라고 부르는 것이 재미있게 느껴 집니다.
달맞이꽃은 바늘꽃과에 속하는 이년 초인데 줄기는 높이 60cm가량이고,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이며 우상(羽狀)으로 불규칙하게 째졌습니다. 속이 여러 칸으로 나뉘고 각 칸에 많은 씨가 든 열매가 맺는다고 합니다. 익은 후에 네 갈래로 갈라져서 아주 작은 종자를 방출한다고 합니다.
보통 과일 씨앗들에 기름이 많이 들어있긴 합니다만 이 작은 씨앗에는 기름이 많이 들어 있어 약 20%나 된다고 합니다. 그래도 달맞이 꽃씨는 워낙 작아 1000개의 무게가 겨우 0.5g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 달맞이꽃 종자유는 옛날부터 인디언들이 염증과 발진에 바른 민간약이었다고 합니다. 백인들에겐 천식 특효약으로 전해졌고 영국에선 「왕의 만능 약」으로 불린 신비로운 물질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2. 달맞이꽃의 효능
이런 달맞이꽃 종자유가 최근 건강식품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이 달맞이 종자유에는 감마리놀렌산이라는 불포화 지방산이 들어 있는데 이 감마리놀렌산이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생리적 활성 물질의 모체가 된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입니다. 이미 밝혀진 프로스타글란딘만 해도 30종이 넘는다고 합니다.
프로스타글란딘이 인체에서 하는 생리작용을 보면 다음과 같이 광범위합니다. 혈관의 수축·확장, 기관지 근육의 수축과 이완, 위액 분비의 억제, 자궁근육 수축, 수분 배설, 혈소판 응집의 유도 또는 저해 등.
일반 식용유에 많이 들어 있는 불포화 지방산 중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을 잘 만드는 것은 감마리놀렌산입니다. 이 감마리놀렌산을 많이 가지고 있는 달맞이 종자유가 생리적 기능을 나타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
3. 달맞이꽃 종자유의 보급
여러 임상 결과가 발표되면서 미국에서는 건강식품의 자리를 굳히고 있다. 1982년 베르그스트롬, 베인, 사무엘슨 등은 프로스타글란딘(PG)의 생체 내에서의 생성과 작용기구의 연구로서 노벨상을 받았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산야에 귀화식물로 야생하고 있는 달맞이꽃 종자에는 프로스타글란딘의 모체로 알려진 감마리놀렌산이 풍부히 들어 있습니다. 특별히 재배하지 않더라도 수집·이용할 수 있어 국내 부존자원의 이용면에게서도 큰 의의가 있는 일입니다.
달맞이 종자유는 콜레스테롤의 양을 크게 떨어뜨린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따라서 심근경색이나 동맥경화, 고혈압, 협심증 등 순환기계 장애나 심장질환이 개선되는 것입니다.
또 달맞이 종자유를 투여한바 체중감소 효과가 컸다는 보고가 많이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체중 감소용 약품과는 달리 달맞이 종자유는 부작용 없이 살을 뺄 수 있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그밖에 류머티즘성 관절염, 월경 불순, 알코올중독 등에 탁월한 효능이 인정되고 있다고 해서 식품 외에 의료용으로도 사용되는 추세라고 합니다.
4. 달맞이꽃 종자유의 부작용
위에 기술해 놓은 사유와 같이 유방통, 생리통 등에 관련하여 달맞이꽃 종자유를 많이 드실 수 있습니다. 특히 갱년기 증상에 도움이 된다고 해서 드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우리 몸에 에스트로젠이 수용체라는 에스트로젠이 작동하는 기관에 감마리놀렌산 성분이 붙고 나쁜 수용체 스위치를 꺼버리기도 한다고 하기에 호르몬 분비가 원인인 유방통에 효과가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만 이때 유방의 조직이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유선들이 자극받아서 통증을 일으키는데 유방의 세포에 있는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가서 달라붙어 작동을 못해 통증을 완화하게 된다고 합니다.
이는 완전히 밝혀진 건 아니라고 합니다. 따라서 일반화하진 마시고 먼저 드셔보시고 효과가 있다면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드시는걸 추천해 드립니다.
'life 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식상식] 김치-발효되어 유산균과 비타민 C풍부 (0) | 2023.01.18 |
---|---|
[음식상식] 굴-체력회복에 좋고, 미네랄 풍부 (2) | 2023.01.18 |
[음식상식] 고구마-변통에 효과적인 식품 (0) | 2023.01.17 |
[음식상식] 고추-비타민 A,C 풍부하지만 과식금물 (0) | 2023.01.16 |
[음식상식] 닭고기-소화습수 잘되는 단백질음식 (0) | 2023.01.16 |
댓글